"월급 실화?""휴일도 출근?"…입사 첫날부터 관두는 日 직장인들

"월급 실화?""휴일도 출근?"…입사 첫날부터 관두는 日 직장인들
Photo by Unavailable Photographer / Unsplash

"월급 실화?""휴일도 출근?"…입사 첫날부터 관두는 日 직장인들

일본은 회계연도가 4월부터 다음해 3월까지다. 신입사원들도 대부분이 4월에 첫 출근을 한다. 부푼 꿈도 잠시, 입사 일주일도 안돼 기대와 다른 상황을 마주한 신입사원들이 줄줄이 사표를 내고 있다.

3일 일본 TV아사히는 채용 정보 및 퇴직 대행 서비스 업체 등을 인용해 "입사 직후 퇴사가 2배 이상 증가했다"며 관련 내용을 보도했다. 이에 따르면 퇴직 대행 서비스를 제공하는 한 회사의 직원은 "사표를 우편 발송해달라는 요청이 계속해서 들어오고 있다"고 전했다.

퇴직 대행 서비스 ‘모움리’의 타니모토 신지 대표는 "어제만 해도 8명이었는데, 오늘은 18명으로 크게 증가했다"고 밝혔다. 입사식이 열렸던 1일에는 5명, 2일에는 8명이 퇴직 대행을 의뢰했으며, 3일 오후 3시 기준으로는 총 31명이 퇴사 신청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두 배 가까이 증가한 수치다. 타니모토 대표는 "가장 많은 이유는 입사 전에 들었던 이야기와 실제 업무 환경이 달랐기 때문"이라며 "예를 들면, 급여가 사전에 안내받은 금액보다 낮았거나, 근무 조건이 달랐던 경우가 많다"고 설명했다.

실제 퇴직 대행 상담 시 접수된 사례들을 보면 ▲"입사 후에야 주말 근무가 필요하다는 설명을 들었다. 하지만 입사 전에는 이에 대한 언급이 전혀 없었다." ▲"구인 공고에는 기본급 160만 엔+각종 수당이라고 명시돼 있었지만, 실제 기본급은 최저임금에도 미치지 못했다."▲ "입사 후 거짓말을 들었다는 사실에 충격을 받았고, 그런 회사와는 얼굴도 마주치고 싶지 않았다."

기업 문화와 관련된 불만도 퇴사 이유 중 하나였다. "사훈을 계속 외치게 하거나, 반복적인 테스트와 지적을 받는 합숙 훈련을 해야 했다"거나 "업무를 몰라서 질문하면 ‘스스로 생각해보라’고 하고, 반대로 스스로 고민해서 해결하려고 하면 ‘모르면 물어봐야지’라는 말을 들었다"는 사연도 있다. "입사식 도중 사장이 신입사원과 말다툼을 하다가 그를 복도로 내보내며 ‘너 지금 장난하냐?’라고 꾸짖었다"는 사례도 있었다.

초봉 인상을 발표하는 기업들이 늘고 있지만, 오히려 이로 인해 퇴사자가 증가하는 역효과도 발생하고 있다. 타니모토 대표는 "기업들은 인재를 확보하기 위해 지나치게 좋은 조건을 내세우는 경우가 많다"면서 "하지만 실제 근무 환경이 구직자가 기대했던 것과 다를 경우, 퇴사율이 증가할 수밖에 없다"고 분석했다. 이어 "우리의 분석에 따르면 퇴사 원인의 20%는 기업 측 문제(소위 블랙 기업), 60%는 기업과 신입사원의 오해나 소통 부족, 그리고 나머지 20%는 신입사원 개인의 문제"라고 설명했다.

일본 후생노동성이 지난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대졸자의 3년 이내 퇴직률은 약 35%로 최근 15년 내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TV아사히는 세대별 반응은 다소 엇갈렸다면서 선배 직장인들의 의견을 소개했다. 40대 직장인은 "요즘 시대엔 그런 사람들도 있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했고 60대 직장인은 "30~40년 전보다 근무 환경이 많이 나아졌다. 쉽게 그만두는 건 아깝다"고 했다. 반면 30대 직장인은 "빠르게 결단하고 새로운 길을 찾는 것이 나쁘다고만 볼 수는 없다"고 했다.

출처:

MSN

Read more

"美 상호관세 폭격에 80년 동맹 균열"

"美 상호관세 폭격에 80년 동맹 균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동맹을 포함한 각국에 상호관세 등을 부과하면서 미국이 구축한 자유주의 진영 동맹 체제에 치명타라는 지적이 제기됐습니다. 이번 관세 조치의 주요 대상국에는 미국의 핵심 동맹국이 다수 포함돼 있습니다. 특히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이 ‘더티 15’로 명명한 미국에 무역흑자를 많이 내는 15% 국가에는 EU, 한국, 일본, 캐나다, 멕시코, 인도,

By sean kim
이승환·JK 김동욱, 尹 선고 앞두고 동상이몽…"집회 나가고 싶지 않아"

이승환·JK 김동욱, 尹 선고 앞두고 동상이몽…"집회 나가고 싶지 않아"

법재판소가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 심판 선고일을 오는 4일로 지정한 가운데, 선고 결과를 앞두고 가수 이승환과 JK김동욱이 해당 소식과 함께 선고 결과에 대한 기대감을 드러냈다. 이승환은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을 촉구하고, JK김동욱은 그 반대로 윤석열 대통령을 공개 지지해왔던 터라 이목을 끌고 있다. (왼쪽부터) 이승환, JK김동욱. 이승환은 1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한 장의 사진과

By sean kim